반응형 전체 글27 지구의 대기와 물 1. 지구의 대기 조성의 변화 태초의 지구에는 산소가 없었다 46억 년 전 방금 탄생한 지구의 대기는, 고온·고압의 수증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밖에 이산화탄소, 질소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 후 수억 년에 걸쳐 지표가 식어 수증기가 비가 되어 지표에 쏟아져 바다가 생기면 대기의 주성분은 이산화탄소와 질소가 되었다. 또한 바다에 이산화탄소가 녹아 그 일부가 칼슘 이온과 결합하여 석회암 (탄산칼슘)으로 해저에 퇴적함으로써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감소하고 대기의 주성분은 질소가 된다. 약 27억 년 전,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수행하는 란조류(시아노박테리아)가 바다에 탄생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과 산소가 생성되게 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더욱 감소하고 산소가 .. 2023. 4. 28. "거대한 운석 충돌"로 인류가 멸망 안하는 방법 1. 과거 소행성으로 인한 피해 지금부터 약 6600만 년 전 '행성 킬러'라고 불리는 지름 10km의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여 유카탄 반도 앞바다의 멕시코 만에 지름 200m의 '치추르브 분화구'가 생겼다. 치추르브 충돌이라 불리는 이 충돌은 공룡을 포함한 당시 지구상에 서식했던 전생물의 76%가 멸종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대학 산타바바라교의 물리학자인 Philip Lubin과 Alexander N. Cohen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비슷한 충돌이 가까운 장래에 일어난 경우에도 인류가 생존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공개되고 있는 지구에 충돌할 위험이 있는 소행성의 리스트(이론상, 향후 1000년 이내에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에는 약 1200개의 소행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직경은.. 2023. 4. 28. 1일차 블로그를 처음 만들어 보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처음으로 블로그를 만들게 된 날입니다. 저는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이는 들어가고 인생은 재미 없는 하루가 연속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블로그로 저의 삶을 기록을 해보고자 이렇게 만들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으로 하루를 보내시나요? " 아.. 오늘도 망친 하루였어 " 이렇게 말만하며 하루를 보내는 분들은 없으신가요? 부정적인 생각으로 저도 얼룩진 삶을 살아왔습니다. 너무나 소심한 사람으로 조용하고 표현도 잘 못하는 삶을 살다보니 너무 인생이 아깝고 저 스스로 바뀌어야 겠다고 마음을 고쳐 먹게 되더군요 하루 하루 자기계발을 어떻게 하는 지 올려보고 꾸준히 저 자신을 보게해 주는 하나의 공간으로 채워 넣을 생각입니다. 앞으로 잘 부탁 드립니다. 2023. 2. 23.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